하베스트 세계 선교 사관학교는

"현지 선교사 훈련" (신임 선교사 또는 기존 선교사의 현지 적응과 정착을 위해),

"선교사 계속 교육" (선교사들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등의 사역을 전개하기 위하여

 나라마다 이 학교를 설립하고 각 선교지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력함으로

한국 선교사들이 효과적인 선교 사역을 하도록 도와야 할 시대적 요청에 서 있다.

선교 사관학교 동역을 권하며

 한인 선교사들로 하여금 선교지 사람이 되게 하고 선교지에서 좀 더 효과적인 사역을 감당 할 수 있도록 하는 선교 현지 선교사 훈련이 우리 선교사들에게 꼭 필요한 일이지만 한국교회는 지금껏 이런 일을 실시하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선교지 언어를 배우는 것으로 현지 훈련이나 적응을 마쳤다고 생각하고 선교 사역을 감당해 왔습니다.


  이제 한국교회가 실시하지 못한 선교 현지 선교사 훈련을 통한 현지 적응과 정착을 이루어 바른 선교 사역을 감당함으로 성경적이고 선교지를 위한 선교사역으로 인정 받는 선교사들이 될 수 있도록 선배 선교사들이 도와 주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우선 나 자신이 선생 선교사의 모습을 갖추고 후배 선교사들에게 그저 얻은 우리들의 선교적 노하우와 선교 사역의 지혜를 무료로 나누어 주는 일에 동참 합시다. 이것이 선임 선교사가 선교를 마쳐 가면서 꼭 해 주어야 하는 한국교회의 선교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태국에 선교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일을 시작하였습니다.

주변의 국가들로부터 전 세계에 이런 선교사훈련기관을 설립하여 우리들의 귀한 것들을 후배 선교사들에게 나누어 주는 사역에 동역해 주시기를 도전합니다.



세계 선교 사관학교

총장 정승회 박사 (Th.D)

1. 선교 사관 학교 설립의 필요성

한국 교회의 열정은 전세계에 선교사를 파송하는 세계교회 중에 선두 교회가 되었다. 그러나 선교사를 선교지에 파송하였으나 파송받아 선교지에 도착한 선교사가 선교지에 구체적인 선교 현지 선교사 훈련 및 연장 교육 기관이 없기에 스스로 선교지 언어를 배우는 수준에서 선교 사역을 시작하였다.


사실 선교사가 선교지에 도착하면 먼저 선교사가 되고 그 후 선교 사역을 감당함으로 선교 사역을 제대로 감당하기 위하여 선교지 적응과 정착을 이루는 "현지 선교사 학교"를 통하여 선교지에 파송 받아 온 선교사들을 선교지 사람으로 만든 후에 선교 사역을 감당하도록 했어야만 한다.


그러나 진정한 선교 사역의 기반이 되는 선교 현지 적응과 정착을 성취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선교 사역은 선교사들이 많은 문제에 부딪혔을 대 그 상황을 제대로 헤쳐나가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고, 선교지에 오랫동안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선교지에 적응되었고, 정착된 것처럼 스스로 오해하고 사역하고 있는 상황이 오늘 우리 선교사들의 현실이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배 선교사들이 후배 선교사들을 위하여 "선교지 선교사 학교의 교수요원"이 되어 후배 선교사들이 선교지 적응과 정착이 무엇인지를 바르게 이해시키고 선교지에 제대로 적응하고 정착된 모습으로 좀 더 효과적인 선교 사역을 감당할 수 있게 해주는 선배 선교사들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모든 선교사는 현실에 만족하지 말고 나의 선교사 됨과 선교 사역을 돌아보면서 다시 출발하는 심정으로 선교지 적응과 정적을 성취하고 선교 사역을 감당하는 진정한 선교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선교지 선교 사관학교 설립의 의의

선교사의 선교지 훈련은 선교사에게 선교사 되게 하는 선교사의 기본적인 훈련이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이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왔으며, 선교사들도 선교지에 제대로 적응이나 정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선교사역을 전개했다. 

이로써 우리 선교사들은 많은 부분에서 비정상적인 선교사역을 감당해 오면서도 자족해 왔다.

이제 이런 상황을 바로 잡아주는데 이 학교 설립의 의의가 있습니다. 이제 온 신임 선교사들은 물론, 선교를 마쳐가는 선교사들가지도 이 문제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선교사로서의 자신을 바로 잡는 기회가 되게하고, 선교적인 혁명이 일어나 새로운 선교 역사가 있게하는 데 의의있다.

3. 선교 사관 학교 설립과 운영의 실제 문제

1) 교수 요원 확보

교수 요원은 당연히 선배 선교사를 교수 요원으로 준비(자가훈련)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선배 선교사는 모두 다 교수 요원이 될 수 있는 상황에 있지 않기에 이 사역을 위한 준비(훈련)를 통하여 스스로 교수 요원이 되어야 한다. 다라서 교수 요원의 가능성이 있는 선배 선교사를 선발해야 하고, 그 선교사가 교수 요원 교육과 훈련을 거쳐서 교수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는 각국의 선배 선교사 중에서 분야별로 나와야 한다. 이로써 선교사 학교의 조교와 교관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 교수 요원들의 준비는 자신의 전문 과목을 결정하고 이에 대한 교재를 준비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선교사 학교의 교수 사역은 자원봉사를 원칙으로 한다.

교수 요원 확보를 위해 각국 선교 사회와 KWMF 등을 통해 광고하여 선임선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교수 자원자들의 모임을 통해 교수 사역에 대하여 구체적인 준비를 한다. 강의할 과목을 배정받고 강의 자료(원고)를 행정 담당자에게 제출해야 한다. 



2) 행정조직

행정 조직을 구성함에는 가 교단과 선교단체의 대표 선교사가 참여하여 모든 교단과 선교단체의 선교사들이 이 학교에 참가할 수 있도록 초청하고 안배해야 한다.

학교의 행정 조직은 운영위원회, 교수회, 행정요원으로하며,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이 한다.


운영위원회의 조직은 각 교단, 선교단체에서 파송받은 선교사들로 구성한다. 운영위원에는 교수 요원 확보, 재정 감사, 행사 지원 등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하여 회의하고 교단과 선교단체 소속 선교사들의 참여를 격려해야 한다. 운영 위원장은 운영위원회의 회원 중 2년을 임기로 하고 연임하지 못한다.

운영위원회 위원: 



교수회는 선교사들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커리큘럼, 강의교재 등을 협의한다. 이를 위해 교무처장, 학생처장, 총무처장 등을 둘 수 있다.

교수회 위원: 


행정요원은 학교장, 서기, 회계, 간사 등 필요에 따라 학교장이 임명한다.

행정요원: 



3) 경비 및 재정 원칙

학교 운영 따른 제반 경비는 참여자의 자비로 충당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외부 후원금 모금할 수 있다.

4. 선교 사관학교 학제 및 커리큘럼

1) 학제 및 학년 구분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사역 연수에 따라 학년을 구분할 수 있다. 신임 선교사로부터 시니어 선교사에 이르기까지 한 강의실에서 모이는 것을 피하고, 사역의 종료(현지인 사역과 한인 디아스포라 사역 등)를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선교사 학교를 통해 미국이나 영국 등 내실있는 학교와 연계하여 선교학 박사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한다.


  (1) 학년 구분

학년 구분은 선교사 연조를 따라 10년 단위로 하되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에서의 사역한 연수를 기본으로 계산한다. 선교지를 변경한 사람은 모든 연수를 계산하되 현재의 국가에서의 사역 연수를 고려한다.

- 유치부 (1-5년차)

- 제1학년 (6-10년차)

- 제2학년 (11-20년차)

- 제3학년 (21-30년차)

- 제4학년 (31-40년차)

- 특별반 (선교지 변경, 비자발적 철수 등)

- 한인교회 선교사반

- 실버반 (70-80세, 명예선교사)


  (2) 기간

신임선교사(1학년) 교육과 훈련 기간은 1년으로 매원 1-4회, 1-4주간(월-금)으로 현지 언어 공부 기간 오후 시간에 개설한다.

기존 선교사 (2,3,4학년)는 가능한 시간(월 1회, 월-금 온종일)에 실시한다.



2) 커리큘럼

태국 선교 사관학교의 커리큘럼은 선교사가 선교지에서 사역하는데 필요한 분야에 대한 과목과 선교사 자신의 영육간의 통제와 관리 그리고 협력 사역에 관한 분야로 이어지도록 한다.


 (1) 사역에 필요한 과목들

선교지 언어 교육과 훈련

선교지 교회, 총회 소개

선교지 선교 단체 소개

선교지 종교 신앙 연구

선교지 문화 풍습 연구

선교지 사회 구조와 삶 소개

선교지 각 지역 및 사역지 연구

선교지 정치 제도 및 관공서 연구

선교지 교육 상황 및 신학 교육 상황 조사

선교지 교통 법규 및 운전의 실제

선교지 선교 사역 소개 및 지도


 (2) 영육간의 통제와 관리에 관한 과목들

선교사 성품 개발

선교사 영성 훈련

선교사 가정 (부부, 자녀)
선교사 지도력 개발

선교사 상담, 코칭, 디브리핑

협력 사역


 (3) 참여자 교습 준비

이 학교가 개최하는 수업에 참석하려는 선교사는 "선교사의 성공적인 선교지 정착(정승회 저)" 책(pdf 파일)을 먼저 정독하고 각 단원을 따라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 그리고 질문을 준비하고 세미나에 참석하도록 한다. 이 책을 기본적인 기초수업 교재로 활용한다.


 (4) 참여자 선교사 생활

이 학교에 참가한 선교사는 이 학교에서 배운대로 살아가려고 힘써야 한다. 이 학교의 명예를 높이며 다음 참여자들을 자부심을 품고 추천할 수 있어야 한다.



 3) 강의 장소 및 교수 방법

 강의는 수강자의 편의를 최대한으로 고려하여 태국의 경우 대도시 (방콕, 치앙망, 치앙라이, 콘껜, 나콘씨탐마랏 등)를 중심으로 하여 개강하여야 하며 이를 책임질 책임자가 임명되고 강의 장소와 숙소 준비가 편리해야 한다.

각 나라의 사정과 형편에 따라 강의 장소를 정하면 된다.

그리고 코로나 등의 상황에 적절하게 대면과 비대면을 융합하여 강의한다. 



4) 네트워크

이 학교는 한 나라에서 시작하여 여러 나라로 벤치마킹하여 확장한다. 각 학교 사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피차 도우면서 전문적인 선교사 현지 학교 사역이 되도록 협력한다.



Tel. Korea +82) 010-4645-3394  |  Thailand +66) 080-081-3468 I +001)  714 403 6803

E-mail. leeseongsang@gmail.com
Add. 313. Moo 15 T. Paphai A.Sansai Chiang Mai 50210 Thailand

       


© 2022 HARVEST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후원 계좌

개인후원: 국민은행 460 21 0196 768 이성상

대학원 운영: 카카오뱅크 020 04 923964 이성상

대학원 건축: 농협은행 312 0155 0794 61 차용희